시사위크=김두완·이미정·박설민·권신구·이주희 기자 빙하는 소금기가 없는 얼음이다. 그 많은 빙하가 바다로 쏟아지면, 잠시 동안 주변 바닷물은 ‘담수화’가 일어난다. 쉽게 말하면, 바닷물이 조금씩 싱거워지는 것이다.
물론 빙하가 많이 녹았다고 해서 남극 전체 바다가 싱거워졌다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연안 지역에 담수가 많이 유입되고 있다는 데이터는 우리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중요한 신호다.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 [핫한 남극, 쿨한 한국 - 영상편②] 남극에 불청객이 찾아왔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 - 영상편①] 펭귄마을의 비극, 계절이 망가졌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⑨] 기후의 전환: 제주 앞바다의 ‘새 손님’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⑧] 기후의 적신호: ‘국민 횟감’의 위기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⑦] 기후의 역습: 남극에서 한반도로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⑥] 유독한 바다: 도모산의 습격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⑤] 남극의 그림자: 조용한 죽음 ‘산성화’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④] 남극의 붕괴: 무너진 바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③] 남극의 딜레마: 탐험이 만든 균열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②] 남극의 경고: 이상한 계절의 동물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①] 남극의 외침: 빙하가 울고 있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⑫] 기후적응 시대: 위기에서 길을 찾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⑩] 기후의 모래시계: 사라지는 백사장
- [핫한 남극, 쿨한 한국⑪] 기후의 알림: 앞마당을 뺏긴 사람들
- [핫한 남극, 쿨한 한국 - 영상편④] 뜨거워진 바다, 사라지는 어장
- [핫한 남극, 쿨한 한국 - 영상편⑤] 변화하는 바다, 우리가 찾아야 할 해답
- ‘기후회의론’, 생성형 AI가 해답될까
- 싱거워진 남극바다, ‘탄소’ 일시적으로 가뒀다
김두완 기자
dodo3310@sisaweek.com
이미정 기자
wkfkal2@sisaweek.com
박설민 기자
ihatefree1@sisaweek.com
권신구 기자
sgkwon28@sisaweek.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